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아의 구조

by 뜌니_ 2020. 4. 9.

흔히 이빨이라 칭하는 치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치아의 기능으로는 음식물을 씹어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게 합니다. , 발음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외모의 심미성을 결정하게 됩니다. 치아가 외모를 결정한다고 하면 의아해하실 텐데요.. 예를 들면 앞니가 튀어나온 경우나 아래턱이 나온 경우 덧니가 난 경우 등 치아의 위치에 따라 사람의 첫인상 느낌이 달라져 보일 수 있습니다.

 

 

치아의 구조

이러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치아는 크게 치관과 치근으로 나뉩니다. 치관이란 치아머리 부분을 뜻하고 치아를 봤을 때 보이는 부분을 말합니다. 치관의 표면을 덮고 있는 부분을 법랑질이라고 무색 반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입니다. 그 다음으로 단단한 조직을 상아질이라고 하며 치아의 구성 조직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황색을 띄며 불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들 ‘왜 내 친구는 치아가 하얀데 제 치아는 노랗나요?’라고 물어보시는데 그 이유가 바로 법랑질 내부에 있는 상아질의 황색이 투시되기 때문에 법랑질의 두께에 따라서 그 색과 투명도가 사람마다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치근은 치아의 뿌리라고 합니다. 치근에는 연조직인 치수가 있습니다. 치수는 신경, 혈관, 림프관 등이 존재하며 상아질을 형성고 치아의 영양공급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치수의 형태도 치아의 외형과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치관에 해당하는 부분을 수실, 치근에 해당하는 부분을 치근관으로 나눕니다.

 

 

이런 치아를 지지해주는 주위 조직들로는 백악질, 치주인대, 치조골, 치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조골은 치아가 위치해 있는 부분의 뼈를 말하며 치아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백악질은 치근을 덮고 있는 단단한 조직으로 백악질 안쪽 부분은 상아질에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고, 백악질 겉부분은 치주인대로 연결되어 치아를 치조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치주인대는 치아를 치조골에 단단히 부착시켜 외부로부터 오는 압력이나 장력에 치아가 충분히 견뎌 낼 수 있는 기능을 합니다. 치은은 흔히 잇몸이라 하며 치아를 둘러싸고 있으며 치조골을 덮고 있습니다. 

 

 

댓글